![[230717] 문화예술교육론(한수정 외)-개정판-그림자.jpg](http://www.uhga.co.kr/www/files/attach/images/124/374/045/ec9423b9ae23a2c9adabd7a10d023f89.jpg)
<차례>
제1부 기초 다지기
제1장 평생교육의 이해
1 평생교육의 대두 배경과 기원
1) 평생교육의 대두 배경
2) 평생교육의 기원과 발전 과정
2 평생교육의 의미와 핵심 요소
1) 평생교육의 의미와 특성
2) 평생교육의 핵심 요소와 이념
3) 평생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시사점
3 평생교육의 이론적 기초
1) 경험학습 이론
2) 앤드라고지 이론
3) 의식화이론(Conscientization)
제2장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1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1) 문화
2) 예술
3) 교육
4) 문화예술교육의 개념
2 문화예술교육의 목적과 의의
3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배경
1)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철학적 흐름
4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배경 특징 및 역할
1)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2) 문화예술교육과 미래
제3장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1 프랑스
1) 문화예술교육 정책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2 미국
1) 문화예술교육 정책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3 호주
1) 문화예술교육 정책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 핀란드
1) 문화예술교육 정책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5 일본
1) 문화예술교육 정책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제4장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1 문화예술교육 정책
1) 1960~1970년대
2) 1980~1990년대
3) 2000년대 초반
4) 2000년대 중·후반
5) 2010년대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 기타
제2부 적용해 보기
제5장 학교와 문화예술교육
1 평생교육으로서 학교문화예술교육
1) 평생교육, 학교교육, 문화예술교육의 관계 이해
2) 학령기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2 학교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
1) 학교교육과정의 방향과 역량
2) 학교 예술 교과군 편제와 시간
3) 학교 예술 교과군 교과 교육 내용
3 학교와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1) 학교교육과 예술강사
2) 중학교 자유학기제·자유학년제와 문화예술교육
3) 지역문화재단 프로그램
제6장 현대 사회와 문화예술교육
1 현대 사회와 예술
1) 현대인의 삶과 예술
2) 문화자본으로 문화예술교육
2 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문화예술교육
1) 예술의 패러다임 전환과 문화예술교육
2) 사회 참여 예술과 문화예술교육
3) 현대 사회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제7장 지역과 문화예술교육
1 지역사회와 문화예술교육
1)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의 의의
2)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배경
2 지역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사례
1) 영국 소렐재단의 토요클럽:
지역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창의력
2) 핀란드 아난딸로 예술센터:
자아 존중감과 삶의 가치를 회복
3) 커뮤니티 댄스: 현대무용에서 지역 기반 소통의 매개로
4) 서울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로 함께하는 우리 동네
제8장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요건
1 문화예술교육 분야 수업을 위해 필요한 지도자의 자질
2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수업설계
1) 문화예술교육 수업설계의 정의 및 특징
2) 문화예술교육 수업설계의 중요성
3 문화예술교육 교육표준
1) 디자인
2) 연극
3) 사진
4 교수·학습지도안
1) 교육표준에 근거한 학교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2)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요령
5 문화예술교육 분야 우수 수업 사례
1) SNUComm-꿈꾸는 뮤지컬 내용 소개
2) 꿈꾸는 뮤지컬 중 <판타지아>의 5/18차시 교수·학습지도안
6 정리
제9장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과 역량
1 문화예술교육사
1) 문화예술교육사의 필요성
2) 문화예술교육사의 발전 과정
3)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2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
3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
1) 학교와 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사의 역할
2) 문화예술교육 실천에서의 역할
제10장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역량
1 평생교육사 양성체계와 자격 기준 및 배치 기준
1) 평생교육사 양성체계
2) 평생교육사 자격 기준
3) 평생교육사 배치 기준
2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직무
1) 평생교육사의 역할
2) 평생교육사의 직무
3 평생교육사의 역량과 직업 전망
1) 평생교육사의 역량
2) 평생교육사의 직업 전망
제3부 지평 넓히기
제11장 노인교육과 문화예술교육
1 노인교육의 이해
1) 노인교육의 개념
2) 노인교육의 필요성
3) 노인학습자의 특징과 사회적 인식
2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의미와 정책
1)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2)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3)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성과
4)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과제
3 노인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
1) 예술강사와 노인 문화예술교육 활동
2) 지역사회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활동
3) 국내외 노인복지기관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사례
4) 노인의 다양한 국내외 문화예술 활동 사례
제12장 다문화교육과 문화예술교육
1 다문화교육의 이해
1)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2) 다문화교육의 의미
3) 다문화교육의 방향성
2 다문화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1) 다문화예술교육의 조건 요소
2) 낯선 음악 문화의 수용적 태도
3) 학습자의 태도
3 다문화예술교육의 연구 방법
1) 교육적 영역
2) 문화적 영역
3) 역사 및 사회적 영역
4) 정치적 영역
제13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화예술교육
1 4차 산업혁명의 이해
1) 4차 산업혁명의 개념
2)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환경 변화의 필요성
2 4차 산업혁명 예술 산업의 변화
1)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과 문화예술의 접목
2) 가상현실(VR) 기술과 문화예술의 접목
3) 증강현실(AR) 기술과 문화예술의 접목
3 4차 산업혁명 시대 문화예술교육 현황
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국내 사례
2)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국외 사례
4 4차 산업혁명 시대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과제
1)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수용
2) 감성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제14장 실용음악교육과 문화예술교육
1 실용음악의 이해
1) 실용음악의 개념
2) 국내 실용음악교육의 역사
2 실용음악 정규교육의 보편적 커리큘럼 체계
1) 대학 및 고등학교 실용음악학과의 대표적 교과목
2) 학점은행제 표준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음악교육
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체계에 의한 실용음악 직업교육
3 평생교육에서 성인의 실용음악 활동
1) 성인을 위한 실용음악의 의미
2) 성인을 위한 실용음악 활동의 사례
제15장 음악교육센터 운영과 프로그램의 사례: 독일
1 음악교육센터 ‘뮤직슐레’ 의 이해
1) 뮤직슐레의 개념
2) ‘독일뮤직슐레협회’의 역할
3) 최근 뮤직슐레의 실태
4) 뮤직슐레와 일반 학교 간의 파트너십
5) 뮤직슐레에서 학부모의 역할
2 뮤직슐레의 교육과정
1) 뮤직슐레의 교육 목표
2) 뮤직슐레의 교육 내용
3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괴핑겐 청소년 뮤직슐레’의 제도 및 프로그램
1) 뮤직슐레의 비전
2) 뮤직슐레의 운영 현황
3) 수업료 및 할인 혜택
4) 수업 내용
5) 오케스트라와 앙상블을 위한 수업
6) 음악 활동의 실태
7) 음악 프로그램
참고문헌
부록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평생교육법」
※ 부록은 도서출판 어가 홈페이지 (http://www.uhga.c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