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신빈곤층이라 부를 수 있는 계층들이 사회 전면에서 등장함으로써 푸어(poor)라는 신조어 등장에 이어 ‘리터루(returoo)족’, ‘1코노미’, ‘언택트’라는 새로운 단어가 등장하며 시대상을 반영해 눈길을 끌었다. 올해에는 ‘나노 사회’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우리 사회가 하나의 공동체적인 유대를 이루지 못하고 개개인, 즉 나노 단위로 조각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나노(nano)’는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로, 초미세의 원자 세계를 일컫는 용어다. 즉, 나노 사회에서 공동체는 개인으로, 개인은 더 미세한 존재로 분해되면서 개개인이 오롯이 스스로 살아남아야 하는 환경에 처하게 되었다는 것인데 사회복지에서 강조하는 나눔을 통한 공동체성을 바라볼 때 반가운 것만은 아니다.
2020년 초부터 전 세계로 확산된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는 우리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사회복지실천현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무엇보다 서비스 제공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방식들이 새롭게 연구 개발되면서 시행착오를 경험했으리라 생각한다. 결국,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사회복지사들도 코로나19와 맞물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수많은 변화를 경험한 이들에게 전문적 역량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세분화된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맞춤형 실천기술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서를 개정하면서 위기개입모델을 추가하여 총 13장으로 구성하였다. 사회복지 천현장에서 활용하는 실천기술의 이론 및 구체적 기법을 학습하고 사례를 통해 쉽게 접근함으로써, 전문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여 학습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본서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는 데 기본 지침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집필하였다.
<차례>
PART 01 사회복지실천기술과 전문성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기술과 전문성 기반
1. 사회복지실천기술
2. 사회복지실천가의 이해
3.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PART 02 사회복지실천모델과 개입기술
Chapter 02. 정신역동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정신역동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정신역동모델의 적용
Chapter 03. 심리사회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심리사회모델의 적용
Chapter 04. 인지행동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인지행동모델 적용
Chapter 05. 과제(과업)중심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과제중심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과제중심모델의 적용
Chapter 06. 역량강화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역량강화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역량강화모델의 적용
Chapter 07. 위기개입모델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위기개입모델의 개입과정과 기법
4. 위개개입모델의 적용
PART 03 체계 수준별 사회복지실천기술
Chapter 08. 가족사회복지실천
1. 가족에 대한 이해
2. 가족생활주기에 대한 이해
3. 가족의 문제 및 욕구
4. 가족사정(family assessment)
Chapter 09. 가족사회복지실천과 개입기술
1. 가족실천 초기과정
2. 가족실천 중간과정
3. 가족실천 종결과정
Chapter 10. 집단사회복지실천
1. 집단사회복지실천
2.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모델과 원칙
3. 집단의 유형
4. 집단지도력
5. 집단사회복지사의 역할
Chapter 1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입기술
1. 집단사회복지실천 발달의 이해
2. 집단의 역동성과 치료적 효과
3.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개입과정
PART 04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록과 평가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 기록기술
1. 사회복지실천 기록기술의 이해
2.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방법
3. 기록의 종류와 특성
4. 녹음 및 녹화 기록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 평가
1. 사회복지실천 평가에 대한 이해
2.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유형
3. 사회복지실천 평가의 절차
4. 단일사례 평가기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