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831] 교육심리학(송영명 외)-표지.jpg](http://www.uhga.co.kr/www/files/attach/images/321/861/036/1cdc245e8ea035ff0a216127bffc854d.jpg)
『교육심리학』은 교원양성기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 다양한 교육기관에 종사하는 선생님들, 그리고 교육현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학습자들과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수·학습의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교육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교 현장에서 교육심리학 이론들을 잘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본 교재를 출간하였다.
<차례>
CHAPTER 01 교육심리학의 이해
1 교육심리학의 개념
2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영역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1) 기술연구
2) 실험연구
3) 실행연구
4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
CHAPTER 02 인지발달
1 발달의 정의 및 원리
2 대표적 인지발달이론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2) Vygotsky의 사회문화적 발달이론
CHAPTER 03 성격발달
1 Freud의 성격발달이론
1) 성격 구조 및 성적 에너지
2) 발달단계
3) Freud의 성격발달이론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 발달단계
3)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3 Marcia의 정체성 이론
1) 정체성 이론
2) 정체성 지위
3) Marcia의 정체성 이론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CHAPTER 04 도덕성 발달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1) 도덕 발달(추론)단계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3 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
1) 배려지향적 도덕성 발달단계
2) Gilligan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
CHAPTER 05 지능
1 지능의 의미
2 지능에 대한 접근과 지능이론
1) 심리측정학적 접근
2) 대안적 접근
3) 교육에의 적용
CHAPTER 06 창의성
1 창의성의 개념과 연구 동향
1) 인지적 접근
2) 사회·성격적 접근
3) 통합적 접근
2 창의성과 지능
3 창의성 측정
1) TTCT
2) GIFT
4 교육에의 적용
1)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2) 창의적 사고기법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CHAPTER 07 정서
1 정서의 개념과 분류
1) 정서의 개념
2) 정서의 차원구조
2 성취정서
1) 성취정서의 개념
2) 성취정서의 이론적 모형
3 정서지능
1) 정서지능의 개념
2) 정서지능의 구성요인
3)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지능
4 안녕감
1) 안녕감의 개념 및 유형
2) 주관적 안녕감
3) 심리적 안녕감
4) 사회적 안녕감
CHAPTER 08 행동주의 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형성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실험
2)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 개념
3) 교육에의 적용
2 조작적 조건형성
1)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주요 개념
3) 교육에의 적용
3 사회학습이론
1)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실험
2) 사회학습이론의 주요 개념
3) 교육에의 적용
CHAPTER 09 인지주의 학습이론
1 게슈탈트 심리학
2 통찰학습
3 잠재학습
4 정보처리이론
1) 정보저장소
2) 인지처리과정
3) 메타인지
4) 교육에의 적용
CHAPTER 10 구성주의 학습이론
1 인지적 구성주의
2 사회적 구성주의
3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리
1)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
2) 인지적 갈등 학습 원리
3) 과제 중심 학습 원리
4) 협동적 상호학습 원리
4 교육에의 적용
1) 인지적 도제
2) 상황학습
3) 문제중심학습
4) 구성주의 학습환경
CHAPTER 11 학업 동기
1 대표적인 학업 동기 이론과 연구의 초점
1) 신념과 인식
2) 가치
3) 욕구
4) 목표
2 학업 동기 이론
1) 기대-가치이론
2) 귀인이론
3) 자기효능감
4) 성취목표지향성
5) 자기결정성이론
CHAPTER 12 교육심리학의 최근 연구 동향
1 인지 관련 연구
1) 마인드셋
2) 그릿
2 자아 관련 연구
1) 자아탄력성
2) 학업적 자기손상화
3) 자아개념의 사회적 비교
3 성격 관련 연구
1) 성격의 개념
2) 성격 5요인 이론
3) MBTI
4 사회 관련 연구
1) 학교적응
2) 사회적 지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