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806] 지역사회복지론-표지_그림자.jpg](http://www.uhga.co.kr/www/files/attach/images/120/033/052/523c18633fab22c5e99d1eae544fc000.jpg)
도/서/정/보
지역사회복지란 개인, 집단, 이웃 등의 사회적 안녕을 위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되는 복지활동을 의미하며, 인간관계나 사회제도에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사회복지의 한 과정이다. 즉, 지역사회복지란 지역사회에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사회복지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는 전문적인 실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 실천은 전문 인력뿐만 아니라 비전문 인력이 지역사회 수준에 개입하여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각종 제도에 영향을 주고, 지역사회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일체의 사회적 노력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지역 차원의 다양한 사회복지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삶의 질에 대한 과제는 행정 차원의 변화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사회복지사의 노력만으로도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요구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체계에 있어서 지역주민은 수혜자임과 동시에 서비스의 참여자로서의 이중적인 역할을 맡게 되는 것이다. 삶의 질 향상이란 문제의 상당 부분을 이미 해결한 선진 복지국가의 경험은 우리에게 이러한 과제의 해결이 지역사회 주민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차원에서의 참여라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역사회복지의 정책적 초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잠재능력 강화, 지역사회의 현안 문제해결, 지역사회의 민주성 강화, 지역자원의 공정한 분배에 맞춰져야만 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새로운 환경 변화를 충분히 반영할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학도가 지역사회복지에 관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이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1급 시험 대비를 위한 교재로서 손색이 없도록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의 지침을 준용하고자 노력했음을 밝혀 둔다. 특히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최근의 정책 변화와 실태 및 자료를 사용하였다.
<차례>
PART 1 지역사회복지 개념과 의의
Chapter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
1. 사회 변화와 지역사회의 개념
1) 지역사회의 개념
2) 지역사회의 기능
3) 사회복지와 뉴패러다임의 지역사회
2. 지역사회복지와 주요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1) 지역사회복지
2) 지역사회조직
3) 시설보호와 재가복지
4)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5) 가상공동체 이론
Chapter 2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1. 지역사회복지의 이념과 가치
1)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2)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2. 지역사회복지의 내용과 방향
1) 지역사회복지의 구성 요소 및 내용
2) 재가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복지의 방향
3. 지역사회복지의 역할과 중요성
1) 지역사회 통합의 촉진 역할
2) 빈곤 구조의 완화 및 개선 기대
3) 역량 강화를 통한 행복한 지역사회 구현
PART 2 지역사회복지 역사
Chapter 3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지역사회복지의 대두
1) 자선조직협회
2) 인보관운동
2. 지역사회보호의 발달
(시설보호 중심 서비스에서 재가보호 중심 서비스로의 전환)
3.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 및 민간참여 전달체계로의 전환
4. 실업 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수준의 개입
Chapter 4 미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자선조직화 운동 시기(1865~1914년)
1) 자선조직협회운동
2) 인보관운동
3)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특징
2. 지역공동모금제도와 협의회 발전 시기(1914~1929년)
3. 공공복지의 발전 시기(1929~1954년)
4. ‘빈곤과의 전쟁’과 지역사회조직의 정착 시기(1954~1973)
5. 보수주의로의 회귀와 지역사회개발(1970년대 이후)
Chapter 5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1) 국가적 차원의 상설 복지기구
2) 민간 수준(촌락 단위)의 부락 협동 관행
2. 일제 강점기의 지역사회복지
1) 협동조합운동
2) 인보관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 시기
3.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1950년대~1960년대)
4.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사회개발 시기
5.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의 확대 시기
6.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와 발전이 진행 중인 현대 시기
PART 3 지역사회복지 방법론
Chapter 6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지역사회개발 모델
2) 사회계획 모델
3) 사회행동 모델
2. 테일러와 로버츠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프로그램 개발 및 조정 모델
2) 계획 모델
3) 지역사회연계 모델
4) 지역사회개발 모델
5) 정치적 권력강화 모델
3. 웨일과 갬블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지리적 지역사회조직 모델
2) 기능적 지역사회조직 모델
3) 지역사회 사회·경제적 개발 모델
4) 사회계획 모델
5)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연결 모델
6) 정치·사회행동 모델
7) 연합 모델
8) 사회운동 모델
4. 포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1) 지역사회보호 모델
2) 지역사회조직 모델
3) 지역사회개발 모델
4) 사회·지역계획 모델
5) 지역사회교육 모델
6) 지역사회행동 모델
7) 여권주의적 지역사회사업 모델
8) 인종차별철폐 지역사회사업 모델
Chapter 7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
1. 지역사회 문제 및 복지욕구 조사
1) 지역사회 문제 분석
2) 지역사회 욕구사정
2.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3. 지역사회복지 실행
4. 평가 및 환류
Chapter 8 지역사회복지 실천 기술
1. 임파워먼트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임파워먼트 실천 기술
2) 임파워먼트 실천 방법
2. 옹호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옹호 실천 기술
2) 옹호 실천 방법
3) 옹호를 위한 핵심 기술
3. 연계와 지역사회복지실천
4. 조직화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조직화의 원칙
2) 조직화의 단계
3) 조직화의 실천 방법
Chapter 9 지역사회 공공복지실천
1. 공공복지실천의 변화
1)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연혁
2)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2. 공공복지실천 주체의 전문 인력
3. 공공복지실천의 전달체계
1)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2) 주민생활지원서비스의 전달체계
3)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4) 읍·면·동 기능 개편
5)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찾아가는 읍면동 복지서비스)
4.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목적과 의의
2)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내용
3)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영향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 전달체계
1.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2.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1)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 목적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구성 배경
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목적과 원칙
4)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5)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
6)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
7)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 방향
3.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1)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추진 배경 및 개념
2)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3)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관계
4. 지역사회보장계획
1)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개념과 목적
2)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배경
3) 지역사회보장계획 내용과 수립 절차
4)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평가
PART 4 지역사회복지 실천 영역
Chapter 11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관, 지역사회자활사업
1. 사회복지협의회
1)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2) 사회복지협의회의 역사
3) 사회복지협의회의 원칙과 기능
4) 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 사업
5)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 방향
2. 사회복지관
1) 사회복지관의 개념
2) 한국 사회복지관의 발전 과정
3) 사회복지관 운영의 기본 원칙
4) 사회복지관의 사업의 대상과 기능
3. 지역사회자활사업
1) 자활사업의 의의
2) 자활사업의 체계와 대상자의 선정·관리
3) 자활사업의 프로그램
4) 지역사회 자활실천기관
5) 지역자활사업의 발전 방향
Chapter 12 지역공동모금회, 정신건강사업, 자원봉사센터
1. 지역공동모금회
1) 지역공동모금회의 정의와 의의
2) 지역공동모금회의 설립 배경
3) 지역공동모금의 특성과 사회적 기능
4) 공동모금회의 조직구조 형태
5) 모금 방법
6) 배분 방법
7) 한국 공동모금제도의 발전 방향
2. 정신건강사업
1) 정신건강복지센터
2) 정신재활시설
3)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의 발전 방향
3. 자원봉사센터
1)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2)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3) 자원봉사센터의 발전 방향
Chapter 13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연혁과 현황
2.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
1) 가족센터 설치 현황
2) 가족센터 사업 현황
3. 가족지원정책의 발전 방향
4. 가족센터의 발전 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