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생애에 걸쳐 가족이 주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은 단지 의지와 생각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서로 사랑해서 결혼을 약속하고 결혼생활에 대한 이상적인 기대는 누구나 다 가지고 있지만, 현실은 결코 녹록지 않다. 아이가 태어나면 관계는 더 복잡해지고 훨씬 많은 문제와 갈등이 나타난다. 가족 때문에 세상과 맞서서 잘 살아갈 힘과 용기가 생기기도 하지만 또 그 가족 때문에 갈등이 생기고 서로에게 깊은 상처를 주고 회복하지 못한 관계로까지 치닫게 될 수도 있다. 이렇듯 가족 간 갈등이 생기고 문제가 발생한다면 행복한 가족관계를 회복하고 유지하기 위해 그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최근 들어 가족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가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복잡다기해지고 있어 가족상담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가족상담을 바라보는 관점도 다양해지고 가족관계에 개입하는 기법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가족 문제는 가족 내에서만 해결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가족 문제는 일부 가족구성원의 탓이라기보다는 그를 둘러싼 환경에 기인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구성원 내에서만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고 하면 해결이 쉽지 않다. 따라서 최근의 가족상담은 개인의 정신병리나 역기능보다는 개인을 둘러싼 가족이나 환경, 사회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가족의 기능 강화 및 회복 등을 더 많이 강조하고 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들이 다양한 가족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내담자들과 만나게 되고 그들을 직·간접적으로 도와주기 위해서는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라는 이론적 틀 내에서 가족 문제에 개입하고 상황에 따른 기법들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교재는 가족상담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살펴보고,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적인 주요개념과 가정들에 따른 가족의 건강성과 역기능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양한 치료 기법과 상담과정 및 치료 효과 등 실제를 다루었다.
수십 년 동안 대학에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교과목을 강의하면서 느낀 점은 학생들이 각 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실제 기법들을 상담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교재는 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팁들을 다음과 같이 포함하였다.
* 플러스 노트: 본문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풍부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내용을 확장
* 사례 박스: 각 이론에서 추구하는 기법들을 사례에 적용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
* 각종 체크리스트 및 검사지: 각 이론과 관련되는 체크리스트나 검사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
<차례>
PART 01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초
Chapter 01. 가족의 이해
1. 가족의 의미
1) 가족 형태
2) 가족 신화
3) 가족에 대한 의존성
2. 가족의 특성
1) 가족 역할
2) 가족 규칙
3) 가족관계
3. 가족의 문제
1) 가족 갈등
2) 가족 스트레스
3) 가족 트라우마
Chapter 0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개관
1.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이해
1) 개인·집단·가족상담
2) 가족생활교육과 가족상담
3) 가족멘토링과 가족코칭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
1) 부부상담과 아동지도 상담
2) 정신의학적 가족치료 발전
3) 대상관계이론을 통한 가족치료 발전
4) 체계이론에 입각한 가족치료 발전
5) 우리나라의 가족상담 및 치료 발달
PART 02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초
Chapter 03. 가족체계론적 관점
1. 가족체계론적 관점의 이해
2. 주요 개념
1) 전체성
2) 하위체계
3) 순환적 인과관계
4) 가족항상성
5) 가족경계
6) 가족 규칙
7) 가족 의사소통
3. 가족체계의 건강성
1) 규범적 차원의 건강성
2) 기능적 차원의 건강성
3) 역기능적 가족
Chapter 04. 가족발달론적 관점
1. 가족발달론적 관점의 이해
2. 가족생활주기
1) 자녀 독립기
2) 신혼기
3) 부모기
4) 아동기 자녀를 둔 시기
5) 청소년기 자녀의 시기
6) 자녀 진수기
7) 중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