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최근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보내고 있는 영유아가 증가하면서 과거 부모나 가족들의 역할로 인식되어온 영유아의 건강교육은 영유아교사의 중요한 과업이 되었다. 부모를 대신하여 영유아를 보살펴야 하는 교사에게 건강을 위한 급·간식, 운동과 휴식의 적절한 제공, 질병에 대한 예방과 조기발견, 조기치료를 위한 노력 등 영유아 건강관리와 일상생활 속에서의 기본적인 습관 형성, 응급 상황 대처 능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영유아가 건강소양을 함양하여 현재와 미래에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영유아의 건강을 위하여 영유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민첩하게 반응해야 하며 따뜻하고 수용적이며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여 영유아의 건강을 도모하여야 한다.
이에 본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장에서 영유아의 건강을 관리하고 교육하는 유아교사가 영유아 건강에 대하여 바르게 알고, 동료 교사들과의 토의를 통해 생각을 나누며, 놀이·일상생활·활동을 통한 건강교육을 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특히 「2019 개정누리과정」과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여 놀이를 통해 몸과 마음이 고루 발달한 건강한 영유아로 살아가며, 앞으로 건강한 사람으로 배우고 성장하고자 하는 교육적 비전을 담고자 하였다.
<차례>
제1부 영유아 건강교육의 이해
Chapter 1 영유아 건강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1. 영유아 건강교육의 개념
2. 영유아 건강교육의 중요성
3. 영유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hapter 2 영유아기 발달과 건강
1. 태아의 발달과 건강
2. 영유아의 발달과 건강
Chapter 3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평가지표를 통해 살펴본 건강교육
1.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건강교육
2.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건강교육
3. 어린이집 평가제와 건강 관련 지표
4. 유치원 평가와 건강 관련 지표
제2부 영유아 건강교육의 내용
Chapter 4 태아 및 영아의 영양과 건강
1. 태아의 영양과 건강
2. 영아의 영양과 건강
Chapter 5 유아기 영양과 건강
1. 유아의 영양과 건강
2.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Chapter 6 영유아 정신건강
1. 정신건강의 이해
2. 영유아기 정신건강 문제
3. 영유아의 정신건강 증진
Chapter 7 영유아를 위한 건강 생활습관 지도
1. 손 씻기
2. 치아 관리
3. 배변 습관
4. 식습관
5. 의(衣) 생활습관
6. 휴식 및 수면
Chapter 8 영유아 질병관리
1. 영유아의 질병
2. 예방접종
3. 건강검진
Chapter 9 영유아의 안전과 응급처치
1. 영유아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과 현황
2. 응급처치
3. 상활별 응급처치
제3부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건강교육
Chapter 10 영유아 건강교육 운영 및 교사의 역할
1. 건강교육 운영 및 교수·학습 방법
2. 영유아 건강교육을 위한 기관과 교사의 역할
Chapter 11 건강교육을 위한 환경구성
1. 건강교육을 위한 실내 환경구성
2. 건강교육을 위한 실외 환경구성
Chapter 12 영아 건강교육의 실제
1. 일상생활에 기초한 건강교육
2. 놀이를 통한 건강교육
3. 놀이와 연계한 건강교육 활동
Chapter 13 유아 건강교육의 실제
1. 일상생활에 기초한 건강교육
2. 놀이를 통한 건강교육
3. 놀이와 연계한 건강교육 활동
‘내용을 되짚어 봅시다’ 정답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