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20세기와는 다른 새로운 사회적 위험과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불평등과 계층이동성의 단절성을 회복하고, 더욱 빠르게 좋은 일자리가 줄어드는 시대에서 의자에 어떻게 먼저 앉을 수 있는지를 가르치기보다는 어떻게 의자를 덜 빼고 늘려갈 수 있는지를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어느 시대보다 지금이 복지(사회)정책의 방향을 고민하고 변화시켜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1년 반 만에 개정판을 내게 되었습니다. 매년 변화되는 제도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부분 개정하였습니다. 이 과목에서 함께 고민해야 할 것들을 많이 논의하면 좋겠습니다. 정책의 변화는 제도가 변화하는 것입니다. 우리 공동체의 삶이 조금은 나아지는 방향으로 제도가 변화되어 가야 합니다. 다만, 제도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에서 다수의 시민들이 느끼는 삶의 고민과 불안을 해소해 나가는 공감대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복지를 공부하는 우리가 먼저 많은 논의를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해결의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지만 충분한 토론 속에 최선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복지정책이 변화하려면 복지에 대한 생각도 변화해야 합니다. 더 이상 복지가 전통적인 20세기 어느 때의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것이라 생각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삶과 관련한 것에서 복지(정책)가 출발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차례>
PART 01 사회복지정책 기초 이해
Chapter 01.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및 영역
1. 사회복지의 개념
2. 사회복지정책의 흐름
3. 사회복지정책의 영역
Chapter 02.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1. 자본주의 전개와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2. 빈민법 시대
3. 사회보험 시대
4. 복지국가 시대
5. 복지국가 재편 시대
Chapter 03. 사회복지정책의 목적과 가치
1. 사회복지정책의 목적과 특징
2. 가치
Chapter 04. 사회복지의 모형과 사상
1. 사회복지의 모형
2. 사회복지 사상의 비교
Chapter 05.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1. 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이론이란?
2. 주요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Chapter 06.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
1. 국가의 유형
2. 복지국가의 개념
3. 복지국가의 유형
4. 복지국가의 새로운 변화
PART 02 정책분석
Chapter 07. 사회복지 정책분석
1. 사회복지 정책분석 체계
2. 급여대상
3. 급여형태
4. 전달체계
5. 재원
Chapter 08.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1. 정책과정
2. 이슈와 아젠다
3. 정책대안
4. 정책결정
5. 정책집행과 평가
PART 03 한국의 사회복지제도 이해
Chapter 09.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개념과 형태
2. 사회보장의 원칙
3. 소득재분배
4. 사회보험정책
5. 공공부조정책
6. 사회(복지)서비스정책
Chapter 10. 공적 연금정책
1. 공적 연금의 유형
2. 국민연금제도
Chapter 11. 건강보장정책
1. 건강보장제도
2. 국민건강보험제도
Chapter 12. 산업재해보상정책
1. 산업재해보상제도
2. 산업재해 보상보험제도
Chapter 13. 실업과 고용보장정책
1. 실업과 실업지원제도
2. 한국의 고용보험제도
Chapter 14. 빈곤과 공공부조정책
1. 빈곤의 개념 및 유형
2. 빈곤측정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