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023] 호스피탈리티(사사키치카외)-그림자.jpg](http://www.uhga.co.kr/www/files/attach/images/126/571/045/7131d5a3d5f780f1c3a986cf07cc404f.jpg)
<차 례>
머리말
제1장 상호의존형 산업 형태의 발생
1. 1990년대의 변화
2. 2000년대 사회구조의 변화
3. 서비스 경제화라는 환상
4. 미국 호스피탈리티 산업
5. 상호 의존형 산업 발전
제2장 호스피탈리티의 역사와 문화
1. 호스피탈리티 문화
2. 서양의 호스피탈리티 역사
3. 동양의 호스피탈리티 역사
제3장 호스피탈리티와 서비스의 어원
1. 호스피탈리티 어원
2. 서비스의 어원
3. 호스피탈리티와 서비스의 재해석
4. 호스피탈리티와 서비스의 개념 비교
1) 인간관계에서의 개념 비교
2)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상승효과(相乗効果)의 개념 비교
3) 경영 관점에서 보는 개념 비교
제4장 호스피탈리티 매니지먼트
1. 매니지먼트와 마케팅
2. 마케팅의 방향성
3. 서비스 마케팅의 한계
4. 호스피탈리티 매니지먼트 범위
5. 신개념 호스피탈리티의 매니지먼트 구성 요소
1) 기능적 요소군(functional element group)
2) 물적 요소군(physical element group)
3) 인적 요소군(人的要素群, human element group)
4) 창조적 요소군(creative element group)
5) 최적의 상호 발전 요소군(最適共進, optimum inter-evolution element group)
2. 서비스의 어원
3. 호스피탈리티와 서비스의 재해석
4. 호스피탈리티와 서비스의 개념 비교
1) 인간관계에서의 개념 비교
2) 상호작용(相互作用)과 상승효과(相乗効果)의 개념 비교
3) 경영 관점에서 보는 개념 비교
6. 호스피탈리티 매니지먼트의 인재관리
7. 호스피탈리티의 가치 기준
8. 사람과 조직과 사회의 다원적 공창
1) 영리 조직의 다원적 상관관계
2) 비영리 조직의 다원적 상관관계
제5장 호스피탈리티를 실천하는 기업·조직
1. 여행 관련 산업
2. 호텔 및 숙박 산업(lodging industry)
3. 관광 레저 관련 산업(엔터테인먼트 산업)
1) 기능적 요소군
2) 물적 요소군
3) 인적 요소군
4) 창조적 요소군
4. 제조업
5. 소매업
6. 건강 관련 산업(헬스케어 산업)
7. 비즈니스 산업(Business-to-Business Industry)
8. 교육산업(education industrial)
1)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호스피탈리티 교육 확대
제6장 호스피탈리티의 필요성과 보편성
1. 호스피탈리티의 현대 사회 지표
2. 글로벌 사회에 있어서 호스피탈리티의 필요성
1) AI, 4차 산업 혁명의 현대 사회에서의 호스피탈리티
2) 호스피탈리티의 필요성
3. 글로벌 네트워크와 호스피탈리티 사회 형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