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수업은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기술이 아닙니다. 음악 수업은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감정과 의미를 삶 속으로 불러들이는 행위이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해석의 악보를 써 내려가는 시간입니다. 이 책은 바로 그 자리에서 음악을 수업의 언어로, 수업을 관계의 예술로 되새기고자 하는 모든 교사들을 위한 물음이자 초대장입니다.
《(예비 교사와 현장 교사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PBL)을 활용한 음악교수법》은 단순한 기법을 담은 책이 아니라 ‘수업을 어떻게 다시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고백록입니다. 음악교육을 삶의 언어로 삼아 온 교육자들이 모여, 각자의 사유와 실천을 악보처럼 펼쳐 보였습니다. 이 책이 완성된 답이 아니듯, 여러분의 교실에서 쓰일 열린 해석의 악보이기를 바랍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 PBL)은 흔히 활동 중심 수업으로 오해되지만, 본질은 학습자를 교실의 주체로 세우는 교육 혁신입니다. 음악이라는 예술장르에서 PBL은 학생이 주제를 설정하고, 표현하며, 동료와 교류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재구성하도록 돕습니다. 이는 교과서를 넘어 살아 있는 경험을 설계하는 일이며, 수업이 감각과 해석, 창조가 교차하는 교육적 전환이 되도록 합니다.
1부에서는 PBL의 철학적 토대와 음악 수업 설계 전략을 다룹니다.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음악은 무엇을 위해 가르쳐야 하는가?’라는 근본 질문을 PBL 관점에서 재조명합니다. 2부는 실제 교실에서 꽃핀 가창·기악·감상·창작 수업, 다문화 음악교육, 토의·토론 중심 수업, 공연 프로젝트, AI 창작 수업 등 다양한 현장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을 생생히 보여줍니다.
음악처럼 유려하게, 그러나 교육처럼 단단하게!
이 책이 여러분들의 교실에 작지만 확실한 울림으로 남기를 소망합니다.
<차례>
제1부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이론
* 체계적 운영을 위한 프로젝트 교수·학습 기반 수업 설계
Chapter 1 음악 교과 내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의 설계 전략
1 프로젝트 수업의 특징 및 절차
1) 프로젝트 수업의 개념 및 특징
2) 프로젝트 수업의 절차
3)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적 구현을 위한 보완 전략
2 음악 교과 내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 전략
1) 목표 중심 프로젝트 학습 모형(BD-PBL)과 해설
2) PBL 모형 적용의 기대 효과 및 주요 과제
Chapter 2 창의성 제고를 위한 음악 교과 프로젝트 수업
1 창의성과 음악 창의성
1) 창의성 이론
2) 음악 창의성
2 음악 교과 프로젝트 수업에서의 창의성 제고
1) 창의성 제고를 위한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 설계
* 가창·기악·창작·감상 활동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Chapter 3 음악 교과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 (가창, 기악)
1 가창 영역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 가창 영역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
2) 가창 영역 프로젝트 수업 실행
3) 가창 영역 프로젝트 수업 사례
2 기악 영역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 기악 영역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
2) 기악 영역 프로젝트 수업 실행
3) 기악 영역 프로젝트 수업 사례
Chapter 4 음악 교과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2 (창작, 감상)
1 창작 영역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 창작 영역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
2) 창작 영역 프로젝트 수업 실행
3) 창작 영역 프로젝트 수업 사례
2 감상 영역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 감상 영역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
2) 감상 영역 프로젝트 수업 실행
3) 감상 영역 프로젝트 수업 사례
*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융합 교육
Chapter 5 음악 기반 융합 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1 융합 교육의 개념적 이해
1) 융합 교육의 개념
2) 음악 기반 융합 교육의 장점
2 프로젝트 수업에서의 음악 기반 융합 교육
1) 프로젝트 수업에서의 음악 기반 융합 교육 계획 절차
2) 프로젝트 수업에서의 음악 기반 융합 교육 사례
* 프로젝트 수업과 다문화 주제의 접목
Chapter 6 다문화 음악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1 다문화 음악 수업의 개념적 이해
1) 다문화 사회의 배경과 음악교육
2) 다문화의 개념적 이해
3) 다문화 음악교육의 필요성
4) 리머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접근: 맥락주의와 보편주의
5)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단계적 접근
2 다문화 교육의 프로젝트 음악 수업 구상 및 활용
1)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다문화 음악교육
2) 음악 수업의 활용 영역별 음악 수업 구상
3) 프로젝트 음악 수업의 실제
* 프로젝트 수업과 범교과 주제의 접목
Chapter 7 범교과 주제와 프로젝트 수업
1 범교과 주제의 개념적 이해
1) 범교과 용어의 이해
2) 범교과 주제 수업의 필요성
3) 범교과 주제의 종류
4) 범교과 주제의 맥락과 방향
2 범교과 주제의 프로젝트 음악 수업 구상 및 활용
1)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범교과 주제
2) 교과 주제별 음악 수업 구상 예시
3) 범교과 주제 프로젝트 음악 수업의 실제
* 프로젝트 수업에 바탕한 음악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Chapter 8 에듀테크(Edutech)와 음악 프로젝트 수업
1 에듀테크의 이해
1) 에듀테크의 개념
2) 에듀테크의 정의
3) 에듀테크의 유형
4) 에듀테크의 인식
2 음악 교과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가능성
1) 음악과 교육과정과 에듀테크
2) AI 기반 작곡 프로그램
3) 코딩 프로그램 및 관련 교구
4)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5) 메타버스
제2부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및 운영
* 알기 쉽게 풀이해 놓은 프로젝트 수업의 준비부터 평가까지
Chapter 9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1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단계 구성 및 준비 단계
1)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2) 준비 단계
2 음악과 프로젝트 수업의 유형별 실행 및 평가 단계
1) 실행 및 평가 단계
2) 프로젝트 유형별 실행 및 평가
* 프로젝트 학습으로 한층 더 즐거워진 가창 수업
Chapter 10 교가 프로젝트 수업 ‘교가펠라’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체화된 연주를 촉진하는 프로젝트 학습
Chapter 11 오르골 프로젝트 수업 ‘Oh, My Orgel!(오 마이 오르골!)’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프로젝트 학습 기반 음악 수업의 꽃, 창작 수업
Chapter 12 사운드트랩을 활용한 음악 창작 발표하기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수업 준비(교사 주체)
2) 개인별 학습 및 창작 실습
3) 모둠별 창작 활동을 위한 준비 및 계획 세우기
4) 모둠별 창작 및 발표 자료 만들기
5) 감상 및 발표하기
6) 평가하기
Chapter 13 캔바를 활용한 온라인 음악 신문 만들기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수업 준비하기
2) 서양음악사 학습 및 감상
3) 모둠 구성 및 신문 주제 정하기
4) 모둠별 음악 신문 만들기
5) 발표하기
6) 평가하기
Chapter 14 우리 학교 챌린지! - 숏폼 음악극 만들기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놓치기 쉬운 음악적 문해력 제고, 프로젝트 학습으로 ‘AI+음악 창작’
Chapter 15 Hooktheory로 창조하는 나만의 음악 만들기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4) 수업에 활용한 인공지능(AI) 도구에 대한 설명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계기 교육 프로젝트
Chapter 16 K-동요와 AI의 만남: 알파 세대를 위한 어린이날 노래 창작하기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프로젝트 학습에서 더욱 의미 있는 토의·토론 수업
Chapter 17 판소리의 두 얼굴: 국악의 세계화 방안 토론 수업의 설계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단계별 수업 지도 내용
* 대규모 음악 교과 행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
Chapter 18 작은 변화를 일으켜라! 뮤지컬 창작 공연 프로젝트
1 수업 설계
1) 프로젝트 수업 개발의 배경
2) 학습 주제 및 계획
3) 차시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4) 단계별 프로젝트 수업 개요
2 프로젝트 수업 운영
1) 뮤지컬 감상과 이해
2) 뮤지컬 진로 탐색
3) 역할 설정
4) 대본 작성
5) 음악
6) 연출
7) 안무
8) 연습, 리허설, 피드백
9) 공연, 보고서 작성
*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신뢰할 수 있는 프로젝트 교수·학습의 평가
Chapter 19 음악과 개념 기반 탐구 수업의 실제
1 수업 설계
2 교육과정 분석하기
1) 성취기준 분석
2) 단원의 핵심 아이디어 설정
3) 교육과정 기반 수업 설계 방향
3 개념망에 근거한 평가 계획하기
1) 평가 과제 개발
2) 평가 기준표
4 단원 구조
5 개념망에 근거한 교수·학습 설계하기
참고문헌 |
부록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