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저자가 만난 유아와 아동들은 현실과 환상의 이분법을 허물고 자유롭게 상호 교섭하며 유연하게 극적인 놀이를 즐길 줄 아는 존재였다. 이러한 유아들을 더 깊이 만나고 싶었고, 이들의 극적 세계에 동참하고 싶었다. 하지만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촘촘하게 계획된 연극놀이 활동을 추구하는 실정이다. 저자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과 연극놀이를 할 때는 치밀한 계획 속에서 진행하였다. 주어진 시간에 딱 떨어지는 활동계획안과 소란스럽지 않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방법, 그리고 부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정돈된 사진들을 추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지금 와서 유아의 존재에 대해 좀 더 깊이 고민해 보니 이러한 활동은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왜냐하면 교사에 의해 촘촘하게 준비된 활동은 기존의 유아들이 놀이하며 즐기던 형태와 놀이의 소재와는 다소 거리가 떨어진 채 진행된다는 점이다. 특히 동극은 유아들의 자연스러운 유희충동에서 일어나는 놀이와 거리가 멀어 보였고, 유아의 예술적 발현성은 제한되어 교사에게 이끌림을 당하는 존재로 느껴졌다. 따라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연극놀이에 대한 모종의 기대감과 유아교실에서 나타나는 놀이와 연극의 경계를 흐리며 스며들 수 있는 연극놀이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즉, 유아들의 연극놀이는 어디로 어떻게 흘러갈지는 누구도 모르는 미지의 세계임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틈이 없는 세밀한 수업계획안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유아들의 자유로운 극적 상상력을 제한하는 것만 같았다.
저자는 문화예술교육 실천가이자 대학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교육자로서 유아 존재의 발현성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연극놀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유아가 좀 더 주도하는 연극놀이에서 드러나는 유아의 특이성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 책은 교육연극에 대한 간략한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현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서 유아를 바라보는 담론과 저자가 만났던 유아들의 사례들을 담아내었다. 유아의 연극놀이가 교사가 아닌 유아가 주도적으로 행사하는 자유로운 놀이로부터 시작되도록 할 것과 연극놀이를 통한 유아 존재의 발현성에 귀 기울이기를 당부하면서 이 책이 넓게는 예술적 놀이, 예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안내가 되길 바란다.
<차례>
제1부 연극놀이의 이론적 이해
Chapter 1 발현적 연극놀이의 토대 교육연극
1. 교육연극의 역사
2. 교육연극의 개념
3. 교육연극의 유형 및 특징
1) T.I.E(Theatre In Edication)
2) 어린이 연극(Children’s Theatre)
3) 토론연극(Forum Theatre)
4) D.I.E(Drama In Education)
5) 창의적 드라마(Creative Drama)
6) 과정드라마(Process Drama)
4. 교육연극의 교육적 효과
Chapter 2 발현적 연극놀이의 이해
1. 발현적 연극놀이 개념
2. 발현적 연극놀이의 특징
3. 발현적 연극놀이를 위한 안내자의 역할
4. 연극놀이 활동, 동극, 발현적 연극놀이 차이
Chapter 3 발현적 연극놀이의 관점
1. 인간 존재의 관점
1) 휴머니즘
2) 포스트휴머니즘
2. 발현적 연극놀이에서 유아 존재의 관점
1)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유아 담론
2) 대안적(alternative) 유아 담론
3. 일상에서 발견된 포스트휴먼 유아 사례
Chapter 4 발현적 연극놀이의 배경
1. 놀이의 발현과 배움
2. 유아의 삶과 극놀이
3. 유아 연극놀이
4. 유아 예술교육의 전망과 과제
제2부 영유아를 위한 연극놀이 활동
Chapter 5 연극놀이 활동
1. 소통을 위한 웜업 활동
1) 나의 비눗방울을 지켜라
2) 로봇이 되어라
3) 외계인 언어 놀이(지블리쉬)
4) 인사합시다!
2. 감각 열기 활동
1) 사랑해 크레셴도(crescendo)
2) 빈 의자를 지켜라
3) 등 자석 놀이
4) 움벨레 놀이
5) 소리 터널
6) 리더의 움직임 따라 하기
3. 극적인 활동
1) 변형 놀이
2) 시간여행 놀이
3) 핫 시팅
4) 전문가의 망토
5) 타블로
Chapter 6 유아 연극놀이 프로그램
1. 유아교육기관 내 프로그램
1) 드림아이
2. 교육기관 밖 프로그램
1) 부산현대미술관
2) 부산진문화재단
Chapter 7 발현적 연극놀이 사례
1. 유아교육기관 내 발현적 연극놀이
1) 극적인 요소를 창조하는 유아
2) 극적 체험을 깊이 하는 포스트휴먼 유아
3) 교사와 함께하는 발현적 연극놀이 사례
2. 교육기관 밖의 발현적 연극놀이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