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교사가 영유아를 어떤 존재로 인식하느냐에 따라 영유아의 삶이 달라진다. 그러나 영유아들은 본인의 의도와 무관하게 교사를 만나게 된다. 영유아들은 교사를 만나 행복한 유아기를 보낼 수도, 반대로 행복하지 못한 유아기를 보낼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1장에서는 가르치기의 출발점으로 영유아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 출발이 순조롭다면, 즉 사고하는 교사라면 영유아에게 이익이 되는 교수·학습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찾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예비 영유아교사에게 영유아라는 존재를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교사교육자의 책무라 할 것이다.
또한 영유아발달이론을 여러 교과에서 다루지만 영유아발달이론과 영유아 존재와의 관계성, 그리고 더 나아가 교수·학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다루는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가르치기의 출발점인 영유아의 존재와 더불어 발달이론을 연결함으로써 교사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영유아 존재 - 영유아발달이론 - 교사 역할-교수·학습 방법을 연결함으로써 이론과 실제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2024 개정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됨에 따라 유치원, 어린이집과 교사, 대학과 교사교육자들 중 그동안 이론과 실제가 일치되지 못하였던 사람들은 혼란스러워하였다. 그러나 이론을 실제에 실현하려 노력하였던 사람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으로 인해 영유아들이 행복한 영유아기를 보낼 기회가 도래하였음에 기뻐하기도 하였다. 즉, 이론이 실제에 실현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대학에서의 배움은 ‘문자’나 ‘종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행위에 나타나게 되므로 교사와 연결된 영유아에게 의미 있는 영향력을 주어야 한다. 예비 교사에게 그러한 배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집필하였다.
<차례>
제1부 가르치기의 출발점
Chapter 1. 영유아
1 새롭게 바라보기
2 존재 알기
3 발달의 독특함 이해하기
4 배움의 과정 들여다보기
Chapter 2. 교사
1 ‘가르치는 자’에서 ‘지원하는 자’로
2 자율성과 책무성을 바탕으로
3 경험을 통해 즐겁게 배우고 가르치기
4 영유아와 함께 교육과정 만들어 가기
5 가정 및 지역사회 공동체와 협력하기
제2부 영유아 교수·학습 이해
Chapter 3. 발달이론에 따른 영유아 교수·학습 접근
1 성숙주의
2 행동주의
3 구성주의
Chapter 4. 국가 수준의 보육·교육과정과 교수·학습
1 교수·학습 원리
2 교수·학습 과정
제3부 영유아 교수·학습 적용
Chapter 5. 일과 운영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1 어린이집의 하루 일과
2 세부 일과 운영
Chapter 6. 자유놀이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1 놀이 계획
2 놀이 운영
3 놀이 평가
Chapter 7. 대집단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1 대집단 수업에서 쉽게 하는 오류
2 교사 주도와 유아 주도
제4부 영유아 교수·학습 실제
Chapter 8. 0세의 교실 이야기 ‘놀이로의 첫걸음’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0세 반 아이들의 첫 사회기관 경험 시작
4 놀이로의 첫 걸음
5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6 놀이를 지원한 김 교사의 이야기
Chapter 9. 1세의 교실 이야기 ‘공놀이’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1세 반 아이들의 놀이 시작
4 공 놀이
5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6 놀이를 지원한 이 교사의 이야기
Chapter 10. 2세의 교실 이야기 ‘상자 놀이’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2세 반 아이들의 놀이 시작
4 상자 놀이
5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6 놀이를 지원한 박 교사의 이야기
Chapter 11. 3세의 교실 이야기 ‘빛 놀이와 거미줄 놀이’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3세 반 아이들의 놀이 시작
4 빛 놀이와 거미줄 놀이: 새로운 교실의 놀이 공간 적응하기
5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6 놀이를 지원한 안 교사의 이야기
Chapter 12. 4세의 교실 이야기 ‘교사부터 변화하기’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교사부터 변화하기
4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5 놀이를 지원한 이 교사의 이야기
Chapter 13. 5세의 교실 이야기 ‘새로움과 주도적으로 만나기’
1 시작 배경
2 놀이의 흐름
3 5세 반 아이들의 놀이 시작
4 새로움과 주도적으로 만나기
5 놀이에 대한 교사의 기록
6 놀이를 지원한 이 교사의 이야기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