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미술심리 진단 및 평가』는 미술이라는 상징적 표현을 통해 인간의 심리적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적·임상적 노력의 산물입니다. 미술은 단순한 예술 활동을 넘어 내담자의 정서와 무의식을 반영하는 창구로서, 언어로 표현되기 어려운 감정과 생각, 기억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미술의 본질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그린 그림을 심리진단 및 평가의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담아내고자 하였습니다.
오늘날 임상 현장에서 미술치료의 필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아동과 청소년부터 성인과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담자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그림에 담아냅니다. 그러나 그들의 그림을 임상적으로 읽어내고 이해하는 과정에는 전문적 지식과 임상적 직관이 동시에 요구됩니다. 그림에 대한 해석은 단순한 상징의 나열이 아니라, 내담자의 발달, 정서 상태, 가족관계, 삶의 맥락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이 책은 그러한 통합적 해석의 관점을 제시하며,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평가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특히 본서에서는 HTP(집-나무-사람 검사), KFD(동적 가족화 검사),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 검사), PITR(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 SWT(별-파도 그림 검사), BND(새둥지화 검사), DAS(이야기 그림 검사), MDT(만다라 그림 검사) 등 임상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투사적 그림 검사를 폭넓게 다루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석 방법과 평가 기준이 비교적 체계화된 검사뿐만 아니라, 해석의 주관성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따르는 검사에 대해서도 그 한계와 가능성을 함께 고민하고자 하였습니다.
이 책이 미술치료사뿐만 아니라 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특수교사, 사회복지사, 미술치료를 전공하거나 임상 현장에서 미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까지 폭넓게 도움될 수 있는 지침서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랍니다. 또한 각 검사에 대한 표준화 된 지침과 해석 요소를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내담자의 그림을 보다 객관적이고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차례>
chapter 1 미술심리 진단의 기초
1. 그림으로 마음을 읽는 이유
2. 투사적 그림 검사의 개념과 원리
3. 미술심리 진단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기초
4. 투사적 검사와 객관적 검사의 차이
5. 미술의 발달 단계와 진단적 의미
chapter 1 그림 검사의 종류와 특징
1. HTP 검사: 내면세계의 구조 읽기
2. KHTP 검사: 관계 속 자아의 움직임 읽기
3. KFD 검사: 가족관계의 심리적 역동성 탐색
4. KSD 검사: 학교 속 작은 세계, 또래의 역동적 관계
5. CCFD 검사: 원 속에 담긴 가족 관계성 읽기
6. AFD 검사: 동물 속에 숨겨진 가족관계의 심리적 의미 찾기
7. ADT: 동물 상징으로 그려낸 내면 탐색
8. FDFT 검사: 바닷속 가족관계 심리 읽기
9. PPAT 검사: 성취와 통제, 심리적 에너지
10. PITR 검사: 빗속에 선 나, 스트레스와 정서 및 대처 능력 읽기
11. FDT 검사: 마음이 머무는 곳을 따라 자유롭게
12. SWT 검사: 별빛과 파도에 실린 감정과 리듬
13. BND 검사: 애착과 보호의 심리적 상징
14. DAS 검사: 이야기 속 장면에 숨은 심리적 진실
15. LMT 검사: 풍경 속 환경의 심리적 탐색
16. WZT 검사: 점과 선, 무의식의 조각을 잇다
17. MDT 검사: 원 안의 자아와 심리적 균형 읽기
chapter 3 미술심리 진단과 임상 적용: 그림속에 담긴 심리적 메시지 해석
1. 미술치료 및 상담에서의 그림 검사 활용
2. 그림의 형식적 요소와 그 심리적 의미
3. 공간 구조의 해석과 상징성
4. 반복, 생략, 강조 표현의 의미: 감정의 왜곡과 밀도
5. 행위 요소 분석: 동작, 시선, 표정, 상호작용
6. 해석 시 주의 사항과 통합적 접근: 오해를 줄이는 통합적 해석
7. 그림 검사와 타 검사와의 연계
8. 임상적 해석 시 유의사항
부록 :
미술심리 진단과 임상 적용: 그림 속에 담긴 심리적 메시지 해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