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한 사회의 지지 기반 중에 가장 유효한 것은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가족에 소속되고, 가족은 구성원들에게 이 세상을 살아가는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대처 방법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으로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족의 영향은 중요하게 다뤄진다. 현대 사회의 가족은 개인과 사회가 유기적으로 상호 협력하고 유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므로 가족기능들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 가족은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가족 규모가 축소되고, 가족기능이 약화되고, 다양한 가족 유형의 출현과 가족 가치관의 혼재 등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 사회가 다루어야 할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가족복지의 정책적·실천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가족복지는 사회복지와의 연계성과 차별성을 가진 실천 방안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가족 전체가 대상이 아닌 가족 구성원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상별 복지의 접근과 별다른 구별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가족 구성원에게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이 문제는 장애를 가진 구성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 가족 전체의 ‘문제’로 보고 접근해야 한다. 가족복지는 개별 대상자를 위한 복지가 아니라 가족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접근으로서 가족이 중요한 변수로 다뤄지며, 가족 전체 및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이며, 나아가서는 가족이 속한 사회문화적 환경과의 교류까지 포함하는 것이 된다.
이에 저자들은 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족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의 독특한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시키고, 가족복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가족복지 실천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총 4부 12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는 가족복지의 기본 개념 이해를 위한 내용으로 1장에서는 가족의 개념과 기능, 가족의 변화, 가족 연구 관점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고, 2장에서는 가족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접근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2부는 가족복지정책에 관한 내용으로, 3장에서는 가족복지정책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정책의 방향을 다루었고, 4장에서는 가족복지정책의 실제로 소득보장정책, 일·가정양립지원정책, 노인돌봄정책, 가족복지 전달체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3부는 가족복지 실천으로, 5장에서는 가족사정, 6장은 가족 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7장은 가족기능 강화 실천으로의 사례관리, 8장은 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으로의 가족상담적 접근을 기술하였다. 제4부는 가족복지 실천 영역으로 9장은 빈곤과 가족복지, 10장은 이혼 및 재혼, 다문화가족, 11장은 장애와 가족복지, 12장은 폭력 및 중독 가족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은 가족복지에 관한 제반 지식과 가족복지 실천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갖고자 하는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그리고 보육 전공자들과 가족복지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은 각 장별로 가족복지 및 가족복지 실천영역들을 다루면서 그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한 ‘Tips’를 제공하였으며,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볼거리’, ‘읽을거리’를 추가하여 관심 영역을 확장하였고, ‘생각거리’를 제시하여 다양한 논의를 하도록 하고 있다.
목차
PART 1 | 가족복지 개관
Chapter 01 가족의 이해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1) 가족의 개념
2) 가족의 기능
2. 가족의 변화
1) 가족구조의 변화
2) 가족 기능의 변화
3) 가족 가치관의 의의
3. 가족 연구의 관점
1) 구조기능주의
2) 갈등주의
3)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4) 여성주의
Chapter 02 가족복지의 이해
1. 가족복지의 개념
2. 가족복지의 필요성
1) 가족 기능의 변화
2)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과 욕구의 다양화
3) 가족에 대한 개입관점의 변화
4) 가족 단위 접근의 중요성
3. 가족복지의 접근과 대상
1) 가족복지의 접근 방법
2) 가족복지의 대상
3) 가족복지 지원 영역
PART 2 | 가족복지 정책
Chapter 03 가족복지정책의 이해
1. 가족복지정책의 개념
1) 사회복지정책의 한 분야로써 가족복지정책
2) 사회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족복지정책
3) 관점 또는 기준으로서 가족복지정책
2.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1) 캐머만과 칸의 유형
2) 고티에의 유형
3) 에스핑-안데르센의 유형
3. 가족복지정책의 새로운 방향
1)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가족복지정책
2)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가족복지정책
Chapter 04 가족복지정책의 실제
1. 소득 보장 정책
1) 가정양육수당
2) 기초연금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4) 한부모가족 지원
5) 근로소득공제제도
2.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1)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도입 배경
2) 일·가정 양립 지원 관련 법률
3)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영역
3. 노인돌봄정책
1) 도입배경
2) 주요내용
4. 가족복지 전달체계
PART 3 | 가족복지 실천
Chapter 05 가족사정
1. 가족사정의 개념
1) 가족사정의 정의
2) 가족사정의 단계
2. 가족사정의 영역
1) 가족 내 역동에 대한 사정
2) 욕구에 대한 사정
3) 자원에 대한 사정
4) 장애물에 대한 사정
3. 가족사정을 위한 방법
1) 면담 또는 인터뷰
2) 관찰
3) 가계도
4) 생태도
5) 검사지 및 질문지
6) 기록
Chapter 06 가족 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1. 결혼 예비 교육
1) 결혼의 의미
2) 결혼 예비 교육의 필요성
3) 결혼 예비 교육의 내용
2. 부부 교육
1) 부부관계의 이해
2) 부부교육의 필요성
3) 부부 교육의 내용
3. 부모 교육
1) 부모 교육의 개념
2) 부모 교육의 필요성
3) 부모 교육 이론과 주요 내용
4) 부모 교육의 효과
Chapter 07 가족기능 강화 실천: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개념
1) 사례관리의 정의
2) 사례관리의 목적
2. 사례관리 과정
1) 인테이크 단계
2) 사정 단계
3) 계획 수립 단계
4) 계획 실행
5) 점검 및 조정 단계
6) 평가 및 종결 단계
3. 가족 사례관리 개입 사례
1) 사례 개요
2) 생활 실태 및 주요 문제
3) 욕구 조사
4) 사례관리 목표 및 서비스 제공 계획
5) 사례관리 과정 및 성과
Chapter 08 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가족상담적 접근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치료 기법
4) 치료적 개입 및 평가
2. 경험적 가족치료
1) 이론적 관점
2) 주요개념
3) 치료 기법
4) 치료 과정 및 평가
3. 구조적 가족상담
1) 이론적 배경
2) 주요 개념
3) 치료 기법
4) 치료 개입 및 평가
4. 해결중심 가족상담
1)이론적 배경 및 기본 전제
2)치료개입
3)치료과정 및 평가
PART 4 | 가족복지 영역
Chapter 09 빈곤과 가족복지
1. 빈곤가족에 대한 이해
1) 빈곤의 개념
2) 빈곤가족
2. 빈곤가족의 문제
1) 주거 문제
2) 직업 문제
3) 건강 문제
4) 가족관계 및 자녀 문제
3. 빈곤가족 지원 서비스
1) 빈곤가족 자녀 지원
2) 빈곤가족의 가족 중심 실천
3) 빈곤가족의 사례관리 실천
4. 빈곤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
1) 국민기초생활보장 지원
2) 자활 지원
3) 의료급여제도
4) 주거급여제도
Chapter 10 이혼 및 재혼, 다문화가족
1. 이혼가족의 이해
1) 이혼가족의 개념
2) 이혼의 실태
3) 이혼의 원인
4) 이혼가족의 문제점
5) 이혼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대책
2. 재혼가족의 이해
1) 재혼가족의 개념
2) 재혼의 실태
3) 재혼가족의 특성 및 어려움
4) 재혼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대책
3. 다문화가족의 이해
1) 다문화가족의 개념
2) 다문화가족의 현황
3)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4)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복지 대책
Chapter 11 장애와 가족복지
1 .장애인가족에 대한 이해
1) 장애의 개념
2) 장애인가족
2. 장애인가족 문제 및 복지 욕구
3. 장애인가족복지 사업
1) 장애인복지 사업
2) 장애인가족 지원 사업
4. 장애인가족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
Chapter 12 폭력 및 중독 가족
1. 가정폭력의 이해
1) 가정폭력의 개념 및 특성
2) 가정폭력의 현황
3) 가정폭력의 문제점
4) 가정폭력에 대한 개입 방안
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이해
1)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개념
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특성
3)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주요 문제
4)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개입